보건증 인터넷발급 및 발급 비용 총정리 2024

특종 업종에서 알바를 하거나 근무를 할때 보건증을 요구 받습니다. 건강, 위생상 문제가 있는지 증명하기 위해 공식 문서로 요구하는 건데요. 특히 식품 서비스, 건강관련 직종, 아동 관련 직종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필수로 보건증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오늘은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과 비용, 발급 기간 등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보건증 이란?

보건증(health certificate)는 개인의 건강 상태를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문서입니다. 취업, 입학, 여행, 보험 가입 등의 특정한 목적을 위해 보건증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보건증에는 이름, 생년월일, 성별 등의 개인정보와 혈액, 소변 등의 검사 결과가 포함됩니다.


보건증 발급방법 및 비용


보건증 발급은 보건소, 병원, 한국건강관리협회 등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각 기관마다 검사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잘 비교해서 받는 것이 유리한데요. 거지하시는 곳 주변에 보건소가 있다면 가장 저렴한 발급 기관인 보건소를 추천드립니다.

기관명비용
공공 보건소 3,000원
병원7,000원 ~ 20,000원
한국건강관리협회10,000원 ~ 20,000원
기관별 발급비용

가장 저렴하고 확실한 발급처인 보건소를 추천드리며, 병원은 검사 유무와 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방문하시기 전 확인 후 방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변 보건소 찾기는 아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건증 인터넷발급

보건소나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았다면 인터넷으로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e보건소 방문
  • 카카오, 네이버 등 간편인증 또는 공동인증서 준비

e보건소를 방문해 개인인증을 거치면 보건증 인터넷발급이 완료됩니다.



보건증 발급기간

보건증은 한번 발급받았다고 해서 평생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무래도 개인 건강상태는 시간이 변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인데요.

  • 교육시설 : 6개월
  • 식품 및 요식업 : 1년
  • 유흥업소 : 3개월

업종별 유효기간이 상이하니 유효기간이 지나기전에 보건증 재발급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보건증 인터넷발급과 발급비용, 발급기간 등 보건증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최근 코로나 19, 독감 등이 다시 유행한다고 합니다. 각 개인이 위생건강에 더욱 신경써야 하는 계절이 다가오는 만큼 철저한 개인 위생을 통해 건강한 계절 나시길 바라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보건증 인터넷발급 썸네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